본문 바로가기

Home Server

PlexKodiConnect 애드온 설치

선행작업

  • Plex client/app 설치
  • Plex Media Server에 접속하여 Plex 사용 가능한 상태

 

코디 설치

 

코디 설정

  1. 한글 설정
    • 톱니바퀴(설정) → Interface
    • Skin → Fonts → "Arial based"로 변경
    • Regional Language "Korean"으로 변경
  2. 소스 설정 (PlexKodiConnect - 이하 PKC - 애드온을 위한)
    • 설정 파일 관리자  소스추가
    • 탐색 → 네트워크 위치 추가... 
    • 다음과 같이 정보 변경/입력
      1. 프로토콜: 웹 서버 디렉터리 (HTTPS)
      2. 서버 주소: croneter.github.io
      3. 원격 경로: pkc-source
      4. 포트: 443 (기본 설정)
      5. 확인
    • 아래와 같이 목록에 https://croneter.github.io:443/pkc-source가 추가됨
    • 확인
  3. 추가된 소스 허용
    • 설정 → 시스템
    • 애드온 알 수 없는 소스 스위치 "ON"  경고  "예" 선택
  4. PKC 설치 (애드온 원작자 설치 설명 https://github.com/croneter/PlexKodiConnect/wiki/Installation)
    • 설정  애드온
    • 압축파일에서 설치 → 2번에서 설치한 소스(https://croneter.github.io:443/pkc-source) 선택
    • repository.plexkodiconnect.Kodi-Nexus.STABLE.zip 선택
    • 팝업과 함께 설치가 완료됨
    • 바로 위의 "저장소에서 설치" 선택 (Navi: 설정  애드온 → 저장소에서 설치)
    • PlexKodiConnect Addons for Kodi 20 Nexus → 비디오 애드온
    • PlexKodiConnect (croneter -3.7.1) 선택
    • 설치
    • 다음 애드온이 설치됩니다 (어차피 안 깔면 사용 못 함)
    • 확인
    • 설치 후 재시작 하라고 경고 뜨지만 아래와 같이 계속 진행됨
    • 아트워크 캐싱 어쩌고 저쩌고 나옴
    • 확인 → 아니오 선택 (예 라고 해도 잘 안되고 계속 물어봄. 본인은 귀찮아서 설정 안함)
    • Plex 링크 (로그인) 화면 진입
    • 로그인 후 → 자신의 Plex 서버 선택
    • To ensure a smooth PlexKodiConnect experience 어쩌고 저쩌고 (Estuary 스킨이 좋으니 사용 바람 대충 이런 내용) 본인은 귀찮아서 "예"를 선택함
    • 애드온 어쩌고 하는 질문 → "애드온 경로" 선택
    • Plex 음악 라이브러리 비활성화 → "예" 선택 (Plex로 음악 듣는 사람이 있나... 일단, 난 아님)
    • 팬아트TV 추가 아트 워크 → "아니오" 선택 (예라고 하면 아트워크 캐싱 어쩌고 또 물어봄)
    • 사용자 지정 사용자 등급 어쩌고 (뭔말인지 모르겠으니) → "아니오" 선택
    • 미세조정 → "아니오" 선택 (걍 써도 쓸만함)
    • 드디어 재시작
  5. 재시작 완료 후
    • Plex 계정 선택
    • 동기화 할 라이브러리 선택 (기본 모두 선택임. 따로 빼야할 라이브러리가 없다면 바로 "확인" 선택)
    • 동기화 진행 후 목록 생성 완료

!!! VOIS LA !!!